서울 독립문 독립 협회 송재 서재필 선생 상 서울 영은문 주초 알아보기
사적 제32호 서울독립문 DONGNIMMUN GATE, SEOUL 독립협회가 주도하여 국왕의 동의를 얻고 국민의 폭넓은 지지를 받아 완성하였다. 프랑스 파리의 개선문을 본떠서 러시아인 사바틴이 설계하고 한국인 심의석이 시공하였다,
송재 서재필 선생 상 – 국가보훈처 지정현충시설 SONGJAE SUHR JAE-PHIL’S STSTUE
1896년 4월 7일 한국최초의 민간 신문인 독립신문을 발간하였고 윤치호 이상재등의 협력을 얻어 독립협회 獨立協會를 창립하여 종래 중국을 사대하던 상징인 영은문 迎恩門을 헐고 그 자리에 국민의 성금을 모아 한국 독립의 상징으로서 독립문 獨立門을 세웠으며 종래의 모화관 慕華館을 개수하여 독립협회 獨立協會의 집회장소와 사무실로 사용하였다,
사적 제33호 서울 영은문 주초 PLINTHS OF YEONGEUNMUN GATE, SEOUL
철거 되기전의 영은문 사진을 보면 현재의 초석위에 원기둥을 세우고 다포로 공포를 짜올린 뒤 우진각 지붕을 덮은 모습이었다 독립협회를 설립한 서재필은 사대 외교의 상징인 영은문을 철거하고 독립문을 지을 것을 주장 하였다
화강암으로 쌓았고 높이는 14.28m 너비는 11.48 로 가운데는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이 있고 문 안쪽의 왼쪽에는 정상으로 통하는 돌계단이 있으며 정상에는 돌난간 이 둘러져 있다.
이 맛돌에는 대한제국 황실을 상징하는 오얏꽃 무늬를 새겼다,
문의 정면과 뒷면에 있는 현판석에는 각각 한글과 한자로 독립문을 새기고 그 좌우에는 태극기를 새겼다.
토론회를 통해 시민들을 모아 나라의 독립과 개혁에 대한 토론을 시키고 만민 공동회 萬民共同會를 조직하여 러시아의 부산 절영도 絶影島 조차 租借 요구를 반대하는 등 국민의 독립 사상과 민권사상을 크게 신장 시켰다
1919년 3.1운동 이후 임시정부가 워싱턴에구미위원회 歐美委員會를 설치하자
그 위원장을 맡아 독립운동을 위한 외교 활동을 전개 하였고 전 재산을 독립운동의 경비에 바치는 등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헌신 하셨으나 1951년 1월 5일 미국에서 서거 하셨다
정부에서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1977년 건국 훈장을 추서 하였으며 1994년 미국에서 선생의 유해를 봉환하여 국립현충원에 안장 하였다
- YouTube
www.youtube.com